동물과 인체의 정상적인 성장에 필요한 몰리브덴의 양은 다른 미량 원소에 비해 매우 소량입니다. 유전적 결함으로 이 원소가 결핍되면 대사 이상이 생긴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몰리브덴을 필수 원소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몰리브덴의 결핍으로 인한 대사 이상에는 신경계 장애, 정신적 발달장애 등이 있는데, 이는 몰리브덴을 필수로 하는 황산 산화효소와 잔틴 탈수소효소의 결핍으로 인한 것입니다.
식이로 섭취한 몰리브덴은 25~80% 정도가 흡수됩니다. 특히 식이 내의 몰리브덴의 함량이 낮을 때 장의 흡수 효율이 증가합니다. 몰리브덴이 흡수되는 과정은 확실치 않지만 능동수송과 확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몰리브덴의 흡수는 몰리브덴과 여러 식이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습니다. 몰리브덴은 철과 구리 등의 무기질과 상호작용이 크며, 특히 구리와 경쟁적으로 흡수됩니다.
체내에서 간과 신장에 비교적 몰리브덴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원소는 흡수된 후 빨리 전환되고, 신장을 통해 몰리브덴의 이온형으로 소변으로 제거됩니다. 따라서 몰리브덴의 항상성은 흡수를 조절하는 것보다는 배설에 의해 유지됩니다. 소량은 담즙으로 배설됩니다.
식품 내 함량은 식품이 자란 환경, 토양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몰리브덴의 좋은 급원으로는 밀배아, 전곡류, 말린 콩, 간 등의 내장육, 우유 및 유제품 등입니다. 반면 어류, 채소 및 과일, 당류, 유지류에는 몰리브덴의 함량이 적습니다.
표. 몰리브덴 함유 식품
분류 | 식품명 | 1회 분량 | 중량(g) | 몰리브덴(mg) |
곡류 | 통밀가루 밀가루 밀배아 감자 |
90 90 90 140* |
0.043 0.023 0.189 0.022 |
|
고기 · 생선 · 달걀 · 콩류 | 간 콩(리마, 말린 것) 달걀 가금류 완두콩 |
1접시 2큰술 1개(중) 1접시 2큰술 |
60 20 60 60 20 |
0.090 0.065 0.030 0.024 0.013 |
채소류 | 시금치 양배추 당근 셀러리 양상추 |
1/3컵(익힌 것) 2장 1접시 3쪽 3~4장 |
70 70 70 70 70 |
0.018 0.012 0.007 0.001 0.001 |
과일류 | 바나나 | 1개(중) | 100 | 0.003 |
우유 · 유제품류 | 우유 | 1컵 | 200 | 0.006 |
유지 · 당류 | 몰리브덴의 주요 급원이 아님 |
* 표시 : 0.3회
몰리브덴의 경우 결핍증이나 인체 독성은 드뭅니다. 몰리브덴의 평균필요량(2015)은 균형 연구결과를 토대로 19~29세 성인 남자의 경우 25μg/일, 이외의 성인과 노인은 20μg/일로 설정하였습니다. 몰리브덴의 권장섭취량은 평균필요량의 120%로 설정하여 19~29세 성인 남자는 30μg/일, 이외의 성인과 노인의 경우 25μg/일입니다.
몰리브덴의 상한섭취량(2015)은 최대무해용량(900μg/kg/일), 불확실계수(100)와 성인의 평균체중을 적용하여 설정하였고, 성인과 노인 남자는 550μg/일, 성인과 노인 여자는 450μg/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정상적인 식이를 하는 사람에게서는 몰리브덴의 결핍은 관찰되지 않지만, 정맥 영양을 공급받는 환자들에게서는 결핍증세가 나타납니다. 그 증세를 보면, 심장 박동의 증가, 호흡곤란, 부종, 허약증세와 혼수가 나타납니다.
몰리브덴은 비교적 독성이 적은 원소로서, 매우 많은 양을 경구 투여해야 그 항상성 유지에 문제가 생깁니다. 인체에서 발견된 과잉증으로는 혈액 내 요산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통풍이 생기는 것입니다.
망간, 크롬, 몰리브덴
망간은 여러 금속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당질, 단백질, 지질의 대사에 관여하고 뼈나 연골조직의 형성에 기여한다. 망간은 전곡류, 견과류, 콩류에 풍부하다. 크롬은 당내성인자의 성분으로 인슐린의 작용을 돕고 콜레스테롤의 합성에 관여한다. 크롬의 주급원은 간, 육류, 전곡류 등이다. 몰리브덴은 몇몇 효소에서 요구되는 미량원소이다. 인체에서 크롬, 몰리브덴의 결핍증은 흔하지 않고 정맥 영양을 하는 경우에 관찰된다.
노화 - 정의, 수명, 원인 (0) | 2021.09.25 |
---|---|
식생활 지침 및 실전지침 (국민 공통, 어린이, 청소년, 성인, 어르신) (0) | 2021.09.24 |
미량 무기질 - 크롬 (0) | 2021.09.22 |
미량 무기질 - 망간 (0) | 2021.09.21 |
미량 무기질 - 셀레늄 (0) | 2021.09.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