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량 무기질 - 크롬

건강

by 건도녀 2021. 9. 22. 16:04

본문

반응형

크롬

동물실험을 통하여, 크롬이 당내성인자의 주요 활성 성분이며 아세트산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촉진한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크롬의 중요성이 인식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크롬은 체내에 6mg 정도로 소량 존재하고, 이 미량 크롬 결핍은 당뇨병이나 심장병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영양상태 평가

크롬의 영양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혈청이나 혈장 내 농도, 머리카락과 소변의 함량을 측정합니다. 성인의 혈청 내 크롬의 정상 수준은 0.14~0.15ng/ml이며 혈장은 0.26~0.28ng/ml이고, 이보다 월등히 낮은 수준이면 크롬이 결핍된 것으로 봅니다.

머리카락의 함량을 측정하기도 하는데, 200ng/g 이하인 경우 초기 크롬 결핍상태로 간주합니다. 흡수된 크롬은 주로 소변으로 배설되며, 정상 성인은 하루 0.2μg 정도의 크롬을 소변으로 배설하는데 정확하게 측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소변으로 배설되는 크롬량은 크롬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크롬이 풍부한 식품

식품 내 크롬의 함량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크롬이 풍부한 대표적 식품으로는 간, 계란, 전밀, 밀겨, 밀배아 등 도정하지 않은 곡류, 육류, 이스트가 있습니다. 반면 크롬의 함량이 적은 식품에는 과일과 채소, 여러 해산물, 유제품, 가공 식품 등이 포함됩니다. 크롬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도정한 곡류 대신 전곡류를 먹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표. 크롬 함유 식품

분류 식품명 1회 분량 중량(g) 크롬(μg)
곡류 밀겨
감자
전밀
밀배아
식빵
시리얼
조리후 1공기

조리후 1공기
조리후 1공기
3쪽
1그릇
90
140*
90
90
100
90
36
34
26
23
20
13
고기 · 생선 · 달걀 · 콩류
달걀
쇠고기

닭고기
1접시
1개(중)
1접시

1접시
60
50
60
80
60
30
26
19
16
8
채소류 당근
시금치
버섯
1접시
데쳐서 1/3컵
1접시
70
70
30
6
6
0.9
과일류 바나나
오렌지
딸기
1개
1개(중)
10개(중)
100
100
100
11
5
3
우유 · 유제품류 치즈
우유
1.5~2장
1컵
20*
200
10
2
유지 · 당류 당밀
흑설탕
버터, 마가린
식물성 기름
백설탕
1큰술
1큰술
1작은술
1작은술
1큰술
10
10
5
5
10
12
2
0.8
0.7
0.2
기타 이스트 1큰술 10 12

* 표시 : 0.3회

 

필요량

한국인의 크롬 평균필요량을 결정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에 식사로 섭취하는 크롬 양과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년) 결과를 토대로 성인의 크롬 충분섭취량을 설정하였습니다. 남자 성인과 노인의 크롬 충분섭취량(2015)은 35μg/일, 여자 성인과 노인의 경우 25μg/일입니다.

크롬을 하루 20μg이하로 섭취하면 약한 정도이긴 하지만 혈당이 상승되기도 합니다. 크롬의 1일 평균섭취가 25μg 정도에서 크롬의 결핍 증세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결과가 있으며 이러한 대상들에게 크롬을 보충했을 때, 내당능(glucose tolerance)이나 혈장의 인슐린,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질의 농도에 큰 차이가 없었다는 점으로 미루어, -

 

결핍증

크롬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므로 결핍증은 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동물실험결과에 의하면 크롬이 결핍된 경우 당내성이 떨어집니다. 인체에서 크롬이 결핍되는 경우는 오랜 기간 장관외영양으로 영양을 공급받는 경우인데, 동물에서와 같이 당내성과 인슐린에 대한 반응이 떨어지며 혈당이 증가하고 당뇨가 나타납니다.

이외에도 크롬이 결핍될 때 그대로 성장이 지연되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수준이 증가하거나 동맥에 혈전이 생기는 등 지질 대사에 이상이 옵니다. 크롬이 부족할 때 각막이 손상되거나 불임 등의 증상도 나타납니다. 크롬의 영양상태를 조기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경증의 크롬 결핍은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잉증

3가 크롬은 아주 과다하게 섭취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독성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3가 크롬은 흡수율이 낮아 독성을 나타내려면 아주 과량을 섭취했을 때만 가능합니다. 크롬의 과잉증은 산업체에서 크롬에 많이 노출된 근로자나 페인트공에게서 나타납니다. 산업체에서 공기 중의 6가 크롬에 과다하게 노출되는 경우 알레르기성 피부염, 피부 궤양증, 기관지암 등의 발생이 증가합니다. 그러나 경구 투여로 인한 3가 크롬의 중독에 대해서는 그리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